개발중에 정적분석, 동적분석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었고,
별도의 분석툴 없이 개발하던 나는 관련 자료를 찾게되었다.
무료툴 위주로 찾던 중에 sonarlint 와 sonarQube를 찾았고 바로 사용해보았다.
sonarlint는 jetBrains , Eclipse, Visula Studio, VS Code에서 사용 가능하다.
sonarlint의 주 기능은 코딩 할 때 품질 및 보안 문제를 식별하고
버그 감지, 맞춤법 검사와 이를 해결에 대한 권장사항을 제공해준다.
sonarlint 공식사이트 >> https://www.sonarlint.org/
내가 주로 사용하는 VS Code 에서는 마켓플레이스에서 sonarLint 검색 후 설치할 수 있다.
내 경우엔 설치가 오래걸려서 재시작도 해봤는데 그냥 오래 걸렸던거.. 인내를 갖고 기다려보자.
설치가 끝나면 수많은 피드백들을 마주할 수 있다.. 돔황챠..
다행?스럽게도 대부분 var 로 선언된 변수들이 대부분..
여러분은 sonarlint를 사용해서 처음부터 깔끔하게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는건 어떨까..?
다음 글은 sonarQube로 정적 분석을 진행하려한다.. 이만 안녕~
'메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앱 컴포넌트화 (1) | 2024.04.29 |
---|---|
Sonar Qube - 정적 분석 툴 (0) | 2022.07.19 |
[Postman]을 이용한 API 테스트 (0) | 2021.05.18 |
js 메모 (0) | 2021.05.12 |
JS. json to checkbox (0) | 2021.04.27 |